생활 정보/패션

넥타이 매는법, 남자 넥타이 코디, 남자 슈트 넥타이 매칭, 하객 패션

히스토리 작가 최장규 2025. 6. 12. 20:58
반응형

넥타이는 남성 정장을 완성하는 핵심 아이템으로, 매듭의 종류와 방식에 따라 전체 인상이 크게 달라집니다. 비즈니스부터 캐주얼까지 다양한 상황에 맞는 주요 넥타이 매듭법을 분석하고, 각 매듭의 유래와 특징, 단계별 묶는 방법, 스타일리스트의 조언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넥타이 매는 방법에는 전통적인 윈저 매듭부터 최신 유행의 트리니티 매듭까지 폭넓은 매듭법이 있으며, 셔츠-수트-타이의 조합을 응용한 스타일링 아이디어도 함께 공유합니다.

매너가 남자를 만든다. 넥타이는 매너의 상징
매너가 남자를 만든다. 넥타이는 매너의 상징

주요 넥타이 매듭 소개

  • 윈저 매듭 (Windsor Knot): 듀크 오브 윈저로 알려진 영국 왕가에 유래된 넥타이 매듭입니다. 넓고 대칭적인 삼각형 모양의 큰 매듭으로, 전통적으로 두터운 넥타이와 함께 사용되며 격식 있는 자리에 적합합니다. 대체로 얼굴이 각진 사람이나 넥라인이 있는 의상에 잘 어울립니다.
  • 하프 윈저 매듭 (Half-Windsor Knot): 풀 윈저에 비해 한 단계 적게 돌려 묶는 매듭으로, 윈저보다 크기가 작고 중간 크기의 대칭형 매듭을 만듭니다. 윈저의 풍성함은 덜하지만 깔끔한 대칭을 유지하여 일반 비즈니스룩이나 세미포멀한 상황에 무난하고 심플함을 유지합니다.
  • 포 인 핸드 매듭 (Four-in-Hand Knot): 19세기 런던의 네 마리 말이 끄는 마차 운전사들이 마차 고삐를 묶던 방식에서 유래한 전통 매듭입니다. 가장 기본적이고 좁은 형태의 매듭으로, 비대칭이고 길게 늘어지는 모양이 특징입니다. 넥타이와 셔츠 색을 단순하게 매치할 때 편안한 캐주얼/비즈니스 캐주얼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미군·해군 제식 매뉴얼에도 정식 매듭으로 소개되어 있을 만큼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켄트/프랫 매듭 (Pratt/Kent Knot): 미국 상공회의소 직원 제리 프랫이 만든 매듭으로, 프랫이라는 명칭과 더불어 켄트 매듭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시작 시 넥타이를 뒤집어(넓은 끝을 왼쪽) 묶는 것이 특징이며, 결과적으로 대칭형이면서도 윈저보다 크기가 작아 다양한 셔츠 칼라에 어울립니다.
  • 엘드리지 매듭 (Eldredge Knot): 2007년 시스템 관리자 제프리 엘드리지가 고안한 복잡하고 화려한 매듭으로, 넥타이의 좁은 끝을 주축으로 15단계 이상으로 묶어 독특한 패턴(가늘고 길게 이어지는 물고기 꼬리 모양)을 만듭니다.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유명해진 매듭으로, 매우 큰 볼륨감과 시선을 끄는 형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요한 회의나 일상 업무보다는 결혼식, 파티 등에서 포인트 룩으로 활용하기 좋습니다.
  • 트리니티 매듭 (Trinity Knot): 엘드리지 매듭과 비슷하게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매듭으로, 켈틱 삼각문양(트리퀘트라)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삼각형 모양을 형성합니다. 좁은 끝을 사용하며 처음부터 느슨하게 묶어 마지막에 단단히 조입니다. 크기는 윈저보다 약간 큰 편이고 전체적으로 비대칭적이지만 눈길을 끄는 디자인이라 정장보다는 파티나 미팅 등 포멀함이 덜한 자리에서 포인트 주기에 적합합니다.

각 매듭법은 형태와 크기, 묶는 방법에 차이가 있으므로 자신의 체격과 셔츠 칼라 모양, 그리고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개해드린 주요 매듭별로 단계별 설명과 스타일 팁을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 윈저 매듭 (Windsor Knot)

윈저 매듭은 목에 크게 자리 잡는 대칭형 매듭으로, 높은 칼라의 드레스 셔츠나 넓은 스프레드 칼라에 특히 잘 어울립니다. 1930년대 에드워드 8세 듀크 오브 윈저가 두툼한 넥타이를 이용해 이 매듭과 비슷한 스타일을 만들었고, 이것이 현대적 윈저 매듭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넓고 대칭적인 만큼 매듭에 타이 패턴이 잘 드러나며, 얼굴이 갸름한 사람에게는 볼륨감이, 각진 얼굴에는 단정함을 강조해 줍니다.

 

매듭 단계:

  1. 넥타이를 목에 걸고 넓은 끝을 오른쪽, 좁은 끝을 왼쪽으로 둔다. 넓은 끝은 체형에 맞춰 허리춤 정도 길이가 되도록 한다.
  2. 넓은 끝을 좁은 끝 위로 넘겨 왼쪽으로 교차시킨다.
  3. 넓은 끝을 목뒤(뒷목)로 돌려 위쪽으로 올려준다.
  4. 넓은 끝을 다시 앞으로 내리면서, 목 앞에 생긴 고리(넥 안쪽)로 올려준다.
  5. 앞쪽에 걸쳐진 부분 아래에서 넓은 끝을 위로 통과시켜 매듭의 틀(앞구멍)을 만든다.
  6. 매듭을 잡아당겨 단정히 정리하며, 매듭 중앙에 아름다운 ‘딤플’(둥근 홈)을 만들어주면 더욱 세련된 인상이 된다.

매듭 순서 따라하기

윈저 매듭 (Windsor Knot) 순서
윈저 매듭 (Windsor Knot) 순서

 

스타일 팁: 윈저 매듭은 완성된 매듭이 크고 뚜렷해 넓은 칼라 셔츠에 어울립니다. 정장이 갖추어야 할 격식과 무게감을 전달할 때 적합하며, 넥타이 끝이 목에서 많이 잡아먹히므로 키가 작은 사람에게는 길이가 모자랄 수 있어 주의합니다. 정장 색상은 네이비나 차콜 계열에 진한 버건디나 다크 그린 계열 타이가 잘 어울립니다. 절제된 고전적인 느낌을 위해 윈저 매듭과 깊은 색상의 솔리드 타이(무지 타이) 매칭이 좋습니다.

👔 하프 윈저 매듭 (Half Windsor Knot)

하프 윈저 매듭은 풀 윈저와 유사하지만 한 단계 적게 꼬아 묶는 방식으로, 매듭 크기가 조금 작아 실용적입니다. 풀 윈저보다는 타이의 볼륨을 덜 잡아먹어 대부분의 체형에서 균형 잡힌 삼각형 모양을 만듭니다. 두꺼운 넥타이뿐 아니라 보통 두께의 넥타이에도 잘 어울리며, 격식과 캐주얼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세미포멀한 상황에서 많이 쓰이기도 합니다.

 

매듭 단계:

  1. 넥타이를 목에 걸고 넓은 끝을 오른쪽, 좁은 끝을 왼쪽에 둔다. 넓은 끝이 허리춤 정도 위치하도록 길이를 맞춘다.
  2. 넓은 끝을 좁은 끝 위로 넘겨 왼쪽으로 교차시킨다.
  3. 넓은 끝을 뒤로 돌려 오른쪽 위(뒷목 방향)로 올려준다.
  4. 넓은 끝을 앞으로 내려 목 앞에 매듭 틀(넥 고리)이 생기도록 한다.
  5. 넓은 끝을 앞쪽에 걸쳐진 부분 아래로 넣어 목 뒤로 다시 올려준다.
  6. 매듭을 잡아당겨 형태를 정돈한다.

매듭 순서 따라하기

하프 윈저 매듭 (Half Windsor Knot) 순서
하프 윈저 매듭 (Half Windsor Knot) 순서

 

스타일 팁: 하프 윈저 매듭은 풀 윈저보다 매듭 크기가 작아 봉합선이 없는 심리스 타이나 슬림핏 셔츠에도 어울립니다. 페넥타이 끝이 넓은 윈저보다는 덜 잡아먹히므로 키가 크지 않은 남성에게 부담이 덜합니다. 예를 들어 깔끔한 핀스트라이프 수트에 하프 윈저 매듭과 밝은 컬러의 솔리드 타이를 매치하면 성숙한 느낌을 주며, 정장 실루엣을 날렵하게 보이게 한다. 매듭 중앙에 적당한 딤플을 만들어주면 더욱 고급스럽습니다.

👔 포 인 핸드 매듭 (Four-in-Hand Knot)

포 인 핸드 매듭은 가장 전통적이고 기본적인 매듭으로, 마차 운전사들이 채찍 또는 목도리를 묶던 방식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매듭은 이름 그대로 4-in-hand 클럽에서 착안했다고도 전해집니다. 전체적으로 좁고 비대칭인 매듭이 형성되며, 묶는 단계가 적어 초보자도 빠르게 배울 수 있습니다. 일반 비즈니스복이나 캐주얼 룩에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매듭입니다.

 

매듭 단계:

  1. 넥타이를 목에 걸고 넓은 끝을 오른쪽, 좁은 끝을 왼쪽에 둔다. 넓은 끝이 조금 더 길도록 길이를 맞춘다.
  2. 넓은 끝을 좁은 끝 위로 교차하여 왼쪽으로 넘긴다.
  3. 넓은 끝을 뒤로 돌려 오른쪽 아래(뒷목 방향)로 올린다.
  4. 넓은 끝을 왼쪽 앞으로 가져와 앞쪽에 수평으로 걸친 부분을 만든다.
  5. 넓은 끝을 앞쪽에 걸쳐진 부분 아래에서 위로 통과시켜 매듭을 완성한다.
  6. 매듭을 당겨 모양을 잡는다.

매듭 순서 따라하기

포 인 핸드 매듭 (Four-in-Hand Knot) 순서
포 인 핸드 매듭 (Four-in-Hand Knot) 순서

 

스타일 팁: 포 인 핸드 매듭은 얇고 비스듬한 모양이 특징으로, 칼라가 좁은 셔츠나 캐주얼한 소재(옥스포드 셔츠, 린넨 등)와 잘 어울립니다. 전통적인 수트와 매치해도 격식을 덜어주는 분위기를 내며, 예를 들어 네이비색 수트+화이트 셔츠+버건디 실크 넥타이 포 인 핸드 매듭은 깔끔하면서도 부담 없는 비즈니스 캐주얼룩으로 추천됩니다. 포 인 핸드 매듭은 형태가 작고 쉬워 면접이나 발표 등에서 빠르게 정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 프랫 매듭 (Pratt/Shelby Knot)

프랫 매듭은 대칭형이면서도 윈저보다 매듭이 작아 활용성이 높습니다. 앞서 설명한 매듭들과 달리 묶기 전 넥타이의 뒷면이 보이도록 뒤집어서 시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1950~60년대 미국 상공회의소 직원 제리 프랫이 고안했고, 나중에 방송인 도널드 셸비가 애용해 Shelby Knot로도 알려져있습니다. 매듭 형태는 작은 윈저와 비슷합니다.

 

매듭 단계:

  1. 넥타이를 목에 걸되 넓은 끝을 왼쪽, 좁은 끝을 오른쪽에 둔다(넥타이 뒷면이 앞을 향하도록 뒤집힌 상태).
  2. 넓은 끝을 좁은 끝 위로 교차시켜 오른쪽으로 넘긴다.
  3. 넓은 끝을 뒤로 돌려 왼쪽 위(뒷목 방향)로 올린다.
  4. 넓은 끝을 앞으로 내리면서, 넥타이 앞쪽에 생긴 고리(넥 고리)로 올려준다.
  5. 넓은 끝을 앞에 걸친 부분 아래에서 위로 통과시켜 매듭을 만든다.
  6. 매듭을 잡아당겨 형태를 정리한다.

매듭 순서 따라하기

프랫 매듭 (Pratt/Shelby Knot) 순서
프랫 매듭 (Pratt/Shelby Knot) 순서

 

스타일 팁: 프랫 매듭은 넥타이 폭이 중간 정도일 때 조화가 좋습니다. 뒷면을 사용하기 때문에 매듭이 약간 뒤틀릴 수 있어 처음에는 숙련이 필요하지만, 완성되면 아주 깔끔한 대칭형이 됩니다. 은은한 스트라이프 셔츠나 솔리드 셔츠와 잘 어울리며, 모던한 사무실 룩을 연출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차콜 그레이 수트+연한 블루 셔츠+네이비 타이 (프랫 매듭)는 도시적이고 절제된 이미지를 줍니다.

👔 엘드리지 매듭 (Eldredge Knot)

엘드리지 매듭은 기존 매듭과는 달리 넥타이의 좁은 끝(소검)을 주축으로 만들어지는 대담한 방식의 매듭입니다. 2007년 제프리 엘드리지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총 15단계 이상의 복잡한 절차를 거칩니다. 완료 후의 매듭은 타이 넓은 끝이 뒤쪽으로 숨겨지고, 앞쪽에 번갈아 얽혀가는 세로형 브레이드 패턴이 드러나 복잡한 절차와 시간에 대한 보상이 나타납니다. 볼륨은 윈저 매듭보다도 크며, 매우 눈에 띄기 때문에 일반적인 비즈니스보다 파티나 세미포멀 행사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착용 시 재킷의 버튼을 하나 풀거나 넥타이 색상을 배경과 적절히 어울리게 해 과하지 않도록 연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듭 단계 (요약):

  1. 넥타이를 목에 걸고 넓은 끝을 왼쪽, 좁은 끝을 오른쪽에 둔다. 넓은 끝은 고정하며, 앞으로는 좁은 끝만 사용한다.
  2. 좁은 끝을 이용해 넓은 끝의 앞뒤로 여러 번 감싼다. 예컨대 좁은 끝을 좌→우(앞), 상→하(뒤), 좌→우(앞) 순서로 돌려 매듭의 바깥 형태를 만든다.
  3. 마지막 단계에서 좁은 끝을 매듭의 앞중앙 고리에 넣고 꺼내어 마무리한다.
  4. 매듭을 곧게 펴고 넥타이를 앞으로 내려 단정하게 정돈한다.

매듭 순서 따라하기

엘드리지 매듭 (Eldredge Knot) 순서
엘드리지 매듭 (Eldredge Knot) 순서

 

스타일 팁: 엘드리지 매듭은 시선을 집중시키는 화려한 모양이므로 스트라이프나 무늬 타이보다는 단색이나 은은한 패턴의 넥타이로 선택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재킷이 있을 때 착용하면 매듭 모양이 더 돋보입니다. 너무 포멀한 자리보다는 결혼식 피로연, 시상식, 데이트 모임 등에서 개성 있는 연출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너무 자주 사용하면 촌스럽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포인트 치트키로 사용해봅시다.

👔 트리니티 매듭 (Trinity Knot) 및 기타 트렌디 매듭

트리니티 매듭은 엘드리지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매듭으로, 세 개의 꼭짓점을 가진 삼각형 모양이 특징입니다. 켈틱 십자가를 닮은 이 매듭은 좁은 끝을 사용해 세 겹의 루프를 만든 뒤 중간에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완성된 매듭은 약간 비대칭이면서 독특한 패턴을 보여주므로, 창의적인 분위기의 모임이나 패션 포인트로 활용하기 좋습니다. 다만 묶기 난이도가 높고 결과물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비즈니스보다는 칵테일 파티나 예복 대체룩 등에서 시도하기 좋습니다.

이 외에도 메로빙언 매듭이나 벨투스 매듭과 같이 영화나 유명인의 의해 알려진 복잡한 매듭들이 있으나, 실용성보다는 재미 요소가 큽니다. 새로운 시도를 갑자기 하기 보다는 본인의 셔츠-수트 스타일과 잘 맞는지 고려하면서 단계별로 연습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매듭 순서 따라하기

트리니티 매듭 (Trinity Knot) 순서
트리니티 매듭 (Trinity Knot) 순서

 

🧥 스타일링 조합 제안 (수트+셔츠+넥타이)

넥타이와 셔츠, 수트의 조합은 색상과 패턴, 매듭 방식의 균형이 핵심입니다. 정장 코디에 응용할 수 있는 5가지 스타일 조합 예시로, 포멀부터 캐주얼까지 다양하게 구성한 꿀팁을 소개합니다.

 

윈저 매듭 스타일링
윈저 매듭 스타일링

네이비 수트 + 흰색 셔츠 + 버건디 넥타이 (윈저 매듭): 가장 클래식한 비즈니스 룩. 네이비 수트의 짙은 색감 위에 깨끗한 흰색 셔츠가 대비를 이루고, 버건디 타이가 포인트가 되어 무게감과 세련미를 동시에 살린다. 전형적인 격식 있는 오피스 차림으로, 윈저 매듭의 넓은 삼각형이 권위를 더해준다.

 

하프 윈저 스타일링
하프 윈저 스타일링

차콜 그레이 수트 + 연한 파란 셔츠 + 네이비 타이 (하프 윈저 매듭): 어두운 그레이 톤의 수트에 파스텔 계열 셔츠를 매칭해 모던하고 절제된 이미지를 연출한다. 예를 들어, 차콜 그레이 수트에는 화이트 셔츠도 무난하지만 연한 블루 계열 셔츠가 봄·여름에 화사한 느낌을 준다. 여기에 네이비 계열의 타이(또는 보더스트라이프)를 더하면 차분하면서도 약간의 컬러 대비를 통해 입체감이 살아난다. 전형적인 면접복이나 회의복에 적합하다.

 

포 인 핸드 스타일링 1
포 인 핸드 스타일링 1

연회색 또는 베이지 수트 + 파스텔 셔츠 + 패턴 넥타이 (포 인 핸드 매듭): 밝은 그레이나 베이지 컬러의 수트는 봄·여름철 야외 행사나 캐주얼 비즈니스룩에 적합하다. 여기에 민트·핑크·라이트블루 등 부드러운 파스텔톤 셔츠를 입어 화사함을 더하고, 도트·페이즐리·스트라이프 등 은은한 패턴 타이를 매치하면 균형 잡힌 룩이 된다. 매듭은 굵지 않은 포 인 핸드나 하프 윈저로 묶어 자연스럽게 연출한다. 올리버윅스 스타일 가이드에 따르면, 연한 회색 수트에는 연한 파란색 같은 파스텔 셔츠가 특히 잘 어울린다.

 

포 인 핸드 스타일링 2
포 인 핸드 스타일링 2

트위드/울 수트 + 체크 셔츠 + 울 타이 (포 인 핸드 매듭): 가을·겨울철 중후한 룩을 원할 때 적합하다. 브라운, 카키, 다크 그레이 계열의 트위드나 플란넬 수트에 체크 패턴 셔츠를 매치하고, 울이나 캐시미어 소재의 타이를 더한다. 예를 들어 브라운 트위드 수트+패턴 체크 셔츠+그레이 울 타이와 같은 조합은 농촌적이고 따뜻한 이미지를 연출한다. 타이는 포 인 핸드나 하프 윈저 매듭을 사용해 자연스러운 목선 라인을 만든다. 이런 조합은 결혼식 하객룩이나 격식 있는 실내 모임에도 활용할 수 있다.

 

프랫 스타일링
프랫 스타일링

네이비 블레이저 + 화이트 셔츠 + 니트 타이 (프랫 매듭): 캐주얼한 스마트 캐주얼 룩으로, 네이비 블레이저와 밝은 셔츠 조합에 니트 타이를 더해 따뜻한 느낌을 낸다. 니트 타이는 울이나 면 소재로 조직감이 있어 캐주얼함을 강조해준다. 체육관, 미팅, 외근용 등 비교적 자유로운 업무 환경에 어울리며, 넥타이 컬러는 브라운·그레이·버건디 등 자연 톤을 선택한다. 매듭은 굵지 않은 프랫 매듭이나 슬림한 포 인 핸드를 사용해 깔끔함을 유지한다.

 

트리니티 스타일링
트리니티 스타일링

블랙 더블브레스트 수트 + 아이보리 셔츠 + 다크 그린 울 타이 (트리니티 매듭):  트리니티 매듭은 복잡하고 시각적으로 독특한 매듭이다. 삼각형 형태의 매듭은 예술적이고 대담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일반적인 비즈니스 룩보다는 패션 감각이 돋보이는 세미 포멀 또는 크리에이티브한 스타일링과 잘 어울린다. 클래식 블랙 수트, 특히 더블브레스트는 구조감 있는 매듭과 조화로우며 셔츠는 따뜻한 톤의 아이보리 or 라이트 베이지가 좋다. 넥타이는 두께감 있는 울 소재, 무광택 다크 그린 컬러로 고른다면 스타일 분위기도 살고 가을 웨딩 결혼식에 참석 패션으로도 손색이 없을것이다.

 

각 스타일링 조합에서는 컬러 대비와 소재의 조화가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네이비 수트에는 와인·금색·포도주색 계열 타이가 잘 어울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 짙은색 수트에는 밝은색 셔츠가 고전적이며, 패턴 셔츠를 입을 때는 넥타이는 최대한 솔리드로 선택해 깔끔함을 유지합니다. 위의 예시들은 사계절과 격식 단계를 골고루 아우르는 조합이므로, 자신의 체형과 행사의 분위기에 맞춰 응용해보

 

반응형